본문 바로가기
  • 138억년 우주의 시간 속에 찰나의 삶을 살고, 은하수 수천억개의 별 속에 머물다 가는 우리

전체 글33

우주에는 별이 몇개나 있을까? 우주 속 총 별의 수 우주에 존재하는 은하의 수허블 우주망원경 등의 관측에 따르면,우주에는 최소 약 2조 개(2 trillion galaxies)의 은하가 존재한다고 추정됩니다.예전에는 1,000억 개 정도로 알려졌지만,관측 기술이 발달하면서 그 수는 훨씬 더 많을 것으로 보이고 있어요.우주에는 최소 약 2조 개(2 trillion galaxies)의 은하가 존재한다고 추정하나의 은하 안에 있는 별의 수은하 마다 차이는 있지만,평균적으로 은하 하나에는 약 1천억 개(100 billion stars)의 별이 있다고 합니다.우리가 속한 우리 은하(은하수)도 약 1천억~4천억 개의 별을 가진 것으로 추정됩니다.은하 하나에는 약 1천억 개(100 billion stars)의 별 그럼 총 별의 수는?대략적인 계산:2조 개의 은하 × .. 2025. 4. 16.
달에서는 소리를 들을 수 있을까? “달에서는 소리를 들을 수 있을까?”“우주인들끼리는 어떻게 대화를 했을까?”소리는 어떻게 전달될까요?먼저 소리라는 것이 어떻게 전달되는지 부터 생각해볼 필요가 있습니다.소리는 공기, 물, 금속 같은 ‘매질(媒質)’을 통해 퍼져 나가는 진동입니다.예를 들어, 우리가 말을 하면 공기의 분자들이 진동 하면서그 진동이 귀에 닿아 소리로 들리는 것이죠.하지만 진공 상태에서는 이 매질이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아무리 큰 소리를 내더라도 그 소리는 퍼지지 못합니다. 달은 ‘진공 상태에 가까운’ 공간입니다달에는 대기가 거의 없습니다.지구처럼 산소와 질소로 이루어진 공기층이 없기 때문에,달의 표면은 사실상 진공 상태에 가깝다고 볼 수 있습니다.즉, 달에서는 소리를 전달해줄 공기나 기체 분자가 거의 없기 때문에,우리가 지.. 2025. 4. 16.
우주에선 시간이 멈출 수도 있다고요? “우주에서는 시간이 멈출 수도 있다”는 말을 들어보신 적 있으신가요?처음 들으면 마치 공상과학 영화 속 이야기 같기도 하고,어딘가 비현실적으로 느껴지기도 합니다.하지만 이 말은 단순한 상상이 아니라,아인슈타인의 상대성 이론과 현대 물리학에서 실제로 설명되는 개념이에요.그렇다면 우주에서 시간이 멈춘다는 건,정확히 무슨 뜻일까요? 시간은 절대적인 게 아닙니다우리는 평소 ‘시간은 누구에게나 똑같이 흐른다’고 생각하곤 합니다.하지만 알베르트 아인슈타인은시간은 상황에 따라 상대적으로 흐를 수 있다고 설명했어요.이게 바로 특수 상대성 이론과 일반 상대성 이론의 핵심입니다.즉, 시간은 고정된 흐름이 아니라, 속도나 중력에 따라 늘어나거나 느려질 수 있다는 거죠.빠르게 움직일수록, 시간은 느려집니다특수 상대성 이론에 .. 2025. 4. 15.
우주에 공기가 없다는 건 무슨 뜻일까? 우주는 진공 상태인가? 우주에 대해 이야기할 때 자주 듣는 말 중 하나가“우주는 진공 상태다”, “우주에는 공기가 없다”는 표현입니다.그런데 여기서 궁금해지죠.공기가 없다는 건 구체적으로 어떤 의미일까요?그리고 그건 우리에게 어떤 차이를 만들어낼까요?우리가 숨 쉬는 공기란 무엇일까요?먼저, ‘공기’라는 건 지구를 둘러싼 대기를 말합니다.우리가 호흡하고, 소리를 듣고, 바람을 느끼는 모든 것은이 공기라는 투명한 물질 덕분이죠.공기는 눈에 보이지 않지만,산소, 질소, 이산화탄소, 수증기 같은 기체 분자들로 이루어진 혼합물입니다.이런 분자들이 모여 지구 표면을 감싸고 있는 거예요.그런데 우주에는 그런 분자들이 거의 없습니다지구 대기를 벗어나면, 기체 분자들의 밀도는 급격히 줄어들어요.높은 산에 올라갈수록 숨이 차는 것도, 공기가 점.. 2025. 4. 15.
광년 (Light-Year) 과 파섹 (Parsec) 차이점 광년(light-year)과 파섹(parsec)은 모두 천문학에서 사용하는 거리 단위인데, 각각의 정의와 사용하는 맥락이 조금 다릅니다.광년 (Light-Year)정의:빛이 1년 동안 진공 상태에서 이동하는 거리= 약 9조 4천 6백억 km (약 5.88조 마일)기준:시간을 기준으로 정의된 거리→ "빛의 속도 × 1년"사용 예:일반 대중 대상 설명, 과학 다큐멘터리, 블로그 글 등에 자주 사용예: “안드로메다 은하는 약 250만 광년 떨어져 있습니다.”파섹 (Parsec) 정의:1AU(지구와 태양 사이 평균 거리)를 기준으로,한 별이 1초각(1/3600도) 만큼 시차(parallax)를 보일 때의 거리= 약 3.26광년 ≈ 3조 8600억 km기준:지구 공전 궤도와 시차(parallax angle)를 기.. 2025. 4. 15.
빛의 속도는 얼마나 빠를까? 실제로 어떤 의미일까? 우주 이야기에서 자주 등장하는 단위 중 하나가 바로 **‘빛의 속도’**입니다.천문 다큐멘터리나 우주 관련 책을 보다 보면“지구에서 태양까지는 빛의 속도로 8분 걸린다”, “이 은하는 우리로부터 1억 광년 떨어져 있다” 같은 표현이 자주 등장하죠.그렇다면 빛의 속도는 정확히 얼마나 빠르고,그 속도가 갖는 진짜 의미는 무엇일까요?빛의 속도는 ‘초당 약 30만 킬로미터’빛은 우리가 아는 우주에서 가장 빠른 속도로 움직이는 존재입니다.정확히 말하면, 진공 상태에서의 빛의 속도는초당 약 299,792.458km, 보통은 약 30만 km/s라고 표현합니다.이게 어느 정도냐면, 빛은 지구를 1초에 약 7바퀴 반 돌 수 있을 정도로 빠릅니다.단순한 숫자가 아니라, 현실에서는 상상조차 어려운 속도죠.예를 들어, 태양에.. 2025. 4. 15.
우주는 왜 어두운가? 우주가 깜깜한 이유 밤하늘을 올려다보면 수많은 별들이 반짝이고 있지만, 그 사이사이는 끝없이 어둡게 펼쳐져 있습니다.우주에는 그렇게 많은 별들이 존재한다는데, 왜 하늘 전체가 별빛으로 가득 차 있지 않을까요?사실 이 질문은 예전부터 많은 사람들이 궁금해해 온 과학적 수수께끼 중 하나입니다.별이 이렇게 많은데 왜 하늘은 깜깜할까요?만약 우주가 무한하고, 별들이 고르게 분포되어 있다면 밤하늘 어디를 바라보더라도 별빛으로 가득 차 있어야 할 것 같습니다.하지만 실제로는 대부분이 어두운 하늘이죠. 이것은 단순한 착시나 빛의 부족이 아니라, 우주의 구조와 시간, 그리고 빛의 특성이 만들어내는 자연스러운 결과입니다.아직 우리에게 도달하지 않은 별빛빛은 굉장히 빠르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속도에는 한계가 있습니다.1초에 약 30만 킬로.. 2025. 4. 15.
별은 왜 반짝일까? 밤하늘을 올려다보면 수많은 별들이 반짝이는 모습을 볼 수 있습니다. 마치 작은 불빛들이 깜빡이는 것처럼 보이죠. 그런데 별은 실제로 반짝이는 걸까요? 아니면 그렇게 보이는 걸까요? 별빛의 깜빡임, 그 이유는?별이 반짝이는 것은 별 자체 때문이 아니라, 지구의 대기 때문입니다.우주에서 별빛은 직선으로 지구를 향해 날아오지만, 지구에 도착하기 직전, 우리 눈과 망원경 사이에는 공기층, 즉 대기가 있습니다. 이 대기는 온도와 밀도에 따라 끊임없이 움직이고 요동치고 있습니다. 이러한 불규칙한 대기를 통과할 때, 별빛은 굴절되며 살짝 방향을 바꾸게 됩니다.그 결과, 우리 눈에는 별이 위치가 미세하게 흔들리거나 밝기가 살짝 변하는 것처럼 보여서 깜빡이는 것처럼 느껴지는 것이죠.행성은 왜 반짝이지 않을까?같은 밤하늘.. 2025. 4. 15.
안드로메다 은하: 우리 은하와 충돌하게될 가깝고도 먼 이웃 은하 별들 사이에 묻혀있는 안드로메다(Andromeda)는 우주에서 가장 특별한 천체 중 하나입니다. 안드로메다 은하, 또는 M31로도 알려진 이 천체는 지구로부터 약 250만 광년 떨어진 곳에 위치한 나선 은하입니다. 이는 우리 은하인 은하로부터 가장 가까운 주요 은하이며, 지구의 북반구에서는 눈으로 볼 수 있습니다. 생성과 진화 모든 은하와 마찬가지로 안드로메다는 가스와 먼지의 중력 붕괴로 형성되었습니다. 이는 우주의 탄생과 거의 동시에 형성된 것으로 약 100억 년 전으로 거슬러 올라갑니다. 그 역사 동안, 이 은하는 다른 은하들과 합병하고 상호작용하는 등의 과정을 거치며 현재의 모습을 갖추게 되었습니다. 그 진화를 연구함으로써 은하 형성의 전반적인 과정에 대한 중요한 통찰력을 얻을 수 있습니다. 구조와.. 2023. 8. 6.
별들은 얼마나 멀리 있을까? 밤하늘을 올려다보며 우리는 종종 우주의 광활함에 경이로움과 경외감을 느낍니다. 별에 대해 물을 수 있는 가장 흥미로운 질문 중 하나는 별이 얼마나 멀리 떨어져 있는지입니다. 이 질문에 대한 답은 복잡하고 해당 별에 따라 다르지만 현대 기술과 천문학적 기술을 통해 몇 가지 놀라운 발견을 할 수 있었습니다. 별까지의 거리를 측정하는 것은 간단한 작업이 아닙니다. 지구나 태양계의 다른 물체와 달리 별은 거리를 직접 측정하기에는 너무 멀리 떨어져 있습니다. 대신 천문학자들은 다양한 기술을 사용하여 별의 속성과 행동을 기반으로 별까지의 거리를 추정합니다. 별의 거리를 측정하는 가장 일반적인 방법 중 하나는 시차 방법입니다. 이 방법은 지구가 태양 주위를 공전할 때 별의 위치가 약간 이동하는 것처럼 보인다는 사실에.. 2023. 4. 5.
우주 쓰레기의 위험 최근 몇 년 동안 점점 더 많은 물체가 지구 궤도에 진입함에 따라 우주 쓰레기라는 주제가 점점 더 중요해졌습니다. 작동하지 않는 인공위성에서 로켓 부스터 조각에 이르는 이 잔해는 현재와 미래의 우주 임무에 중대한 위협이 됩니다. 우주쓰레기란? 우주쓰레기는 더 이상 유용한 목적을 달성하지 못하고 지구 주위를 도는 인공 물체를 말합니다. 여기에는 작동하지 않는 위성, 로켓 단계, 폭발 또는 충돌로 인한 파편이 포함됩니다. 지구 궤도에는 1cm보다 큰 우주쓰레기가 50만개 이상, 1cm보다 작은 조각이 1억개 이상 있는 것으로 추정됩니다. 이 잔해는 최대 시속 17,500마일의 속도로 이동하는데, 이는 우주선이나 위성과 충돌할 경우 심각한 피해를 입힐 수 있을 만큼 빠릅니다. 우주 파편의 위험 우주 쓰레기로 .. 2023. 2. 6.
화성 탐사선 - 과거 미션들 그리고 현재와 미래 태양에서 네 번째 행성인 화성은 수세기 동안 인간의 매혹의 대상이었습니다. 최근 수십 년 동안 과학자들과 우주 애호가들은 행성에서 과거 또는 현재 생명체의 흔적을 발견할 수 있는 가능성 때문에 화성 탐사에 점점 더 관심을 갖게 되었습니다. 현재까지 붉은 행성을 자세히 조사하고 연구하기 위해 여러 화성 탐사선 임무가 시작되었습니다. 이 글에서는 화성 로버 미션의 역사, 현재 화성 로버 및 과학적 성과를 살펴보겠습니다. 화성 탐사선 임무의 역사 최초의 성공적인 화성 로버 프로젝트는 1996년 NASA에서 시작한 화성 패스파인더 임무였습니다. 화성 패스파인더 착륙선에는 소저너(Sojourner) 로버가 탑재되어 다른 행성을 탐험하는 최초의 바퀴 달린 차량이 되었습니다. 소저너 로버는 과학 실험을 수행하고 데이.. 2023. 1. 31.
반응형